개요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사회복지 철학 및 윤리에 입각하여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기술을 사회복지현장에 적용하는 소중한 기회를 경험하는 것이다.
학생, 학교, 기관은 그들의 관심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실습에 대한 목적도 달라진다. 기본 목적은 모든 실습생에게 적용되는 일반적인 것이며, 각 기관에서는 사업의 중점에 따라 실습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학생을 위한 실습의 목적
1. 학교에서 학습한 사회복지에 관한 가치와 윤리, 지식, 기술을 적용한다.
2. 지역사회의 사회복지 실천현장, 자원 및 사회복지기관(시설)에 대한 이해 등을 습득하는 기회가 된다.
3. 사회복지 대상에 대한 이해와 욕구 파악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 기회를 갖는다.
4. 다음의 영역에서 전문가로 성장하는 기회가 된다. 1) 현장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갈등, 편견, 불안 등의 해결과정에서 생기는 자아 인식 발달 2) 자기의 능력과 한계에 대한 통찰력 3) 사회복지를 전문직으로 선택한 동기에 대해 재고하고 확신하는 과정 4) 실습 지도를 받으면서 한 기관에 전문가로서 가져야 할 정체감 형성
대학을 위한 실습의 목적
1. 교육이론과 실천과의 교량역할을 한다.
2. 교육과 학습에 보조적 역할을 한다. 즉, 학생은 실천에 관여함으로 문제에 대처할 때 현장감을 갖게 되고, 교수들은 실습을 계기로 사회복지이론과 실무현장의 연계성을 찾을 수 있다.
3. 학생들이 서로 다른 실천현장에서 익힌 경험을 발표하고 나누게 함으로써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하도록 지도한다.
실습지도는 학생의 학습과 발달에 중점을 둔다. 기관의 수퍼바이저도 학생들로부터 지식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계속적인 도전을 받게 되므로 실습지도를 통해서 성장한다. 학생을 평가할 때, 수퍼바이저 자신에 대한 평가와 기관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도 동시에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평가를 통해 사회복지의 궁극 목적은 우리가 봉사하는 사람들을 위한 서비스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